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3

광복 소식을 전한 전파의 원리 (라디오, 통신망) 1945년 8월 15일 한반도 곳곳에서 들려온 광복 소식은 신문보다 빠르고 편지보다 신속하게 전파를 타고 전국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라디오와 무선전신을 통한 광복 소식 전달은 단순한 뉴스 보도가 아니라 과학기술이 민족의 역사에 남긴 중요한 발자취였습니다. 이 글은 그날의 소식이 어떻게 하늘과 땅을 가르는 전자기파를 타고 사람들에게 도달했는지, 전파와 라디오의 원리를 중심으로 쉽고 흥미롭게 풀어 설명합니다.전파란 무엇인가와 전달 경로전파는 전자기파의 한 종류로 아주 긴 파장을 가진 빛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공기와 진공을 모두 통과하고 도체를 만나면 반사되거나 굴절되며 때로는 지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듯 전파됩니다. 전파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장파 중파 단파 초.. 2025. 8. 15.
TV의 역사, 라디오에서 홀로그램까지 (흑백TV, 컬러TV, 스마트TV) 지금은 TV를 켜면 전 세계 뉴스, 영화, 드라마, 게임, 심지어 실시간 화상통화까지 가능합니다.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사람들은 ‘움직이는 영상’을 집에서 보는 것이 상상 속 이야기였습니다. 라디오 시절부터 흑백 TV, 컬러 TV, 디지털 TV, 스마트 TV, 그리고 미래의 홀로그램 방송까지. 이번 글에서는 TV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모습이 될지를 살펴봅니다.1. 흑백 TV의 등장TV가 발명되기 전, 대중은 라디오와 영화관을 통해 소식을 접했습니다. 라디오는 소리로만 뉴스를 듣고 드라마를 상상하며 즐겼고, 영화관은 특별한 날에만 방문해 뉴스 필름과 단편 영화를 보았습니다. 영상과 소리를 동시에 집에서 보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1920~30년대, 전자 기술과 .. 2025. 8. 13.
핸드폰이 없던 시절(편지와 전령, 유선 전화, 통신망) 지금은 손안의 스마트폰으로 전 세계 누구와도 즉시 연결되지만, 불과 150여 년 전만 해도 먼 곳에 있는 사람과 바로 대화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전화기가 없던 시절부터 전보, 유선 전화, 그리고 삐삐 이전 시절까지 통신 기술이 발전한 과정에는 물리학, 전자공학, 그리고 사회 변화가 얽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느리고 제한적이었던 소통 방식에서, 빠른 유선 통신망으로 발전하기까지의 이야기를 살펴봅니다.편지와 전령의 시대전화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직접 만나거나 글을 보내는 방법으로 소식을 전했습니다. 편지는 종이에 글을 적어 배달부가 말, 배, 기차 등으로 전달했고, 전령은 중요한 소식을 사람이나 동물이 직접 운반했습니다. 또한 훈련된 비둘기를 이용한 비둘기 우편도 사용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거리에 .. 2025. 8. 13.
삐삐에서 휴대폰까지 (통신기기, 무선호출기, 소형화) 지금은 손 안의 스마트폰으로 전 세계 사람과 실시간 연결되지만, 불과 30여 년 전만 해도 휴대전화는커녕 삐삐(호출기)가 최신 기술이었습니다. 삐삐가 사라지고, 시티폰이 등장했다가, 오늘날의 스마트폰으로 발전한 과정에는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 네트워크의 진화, 기기의 소형화라는 과학적 흐름이 숨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삐삐 이전의 소통 방식부터 현대 스마트폰까지의 발전 과정을 살펴봅니다.통신 기기가 없던 시절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기기가 없던 시절, 소식을 전하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었습니다. 집, 직장, 공중전화 부스에서만 통화 가능했고, 긴급하지 않은 소식은 편지, 전보로 전달되었습니다. 약속은 미리 정해 놓아야 하며, 갑작스러운 변경은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정보 전달의 속도가 사람이.. 2025. 8. 13.
왜 물체는 바닥에 떨어질까 (중력, 질량, 가속도) 연필을 손에서 놓으면 바닥으로 떨어지고,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현상은 너무 당연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이 평범한 현상은 우주를 지배하는 힘 중 하나인 ‘중력’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력, 질량, 가속도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왜 물체가 바닥으로 떨어지는지 과학적으로 쉽게 풀어봅니다.중력: 모든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물체가 바닥에 떨어지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중력(Gravity)입니다. 중력은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지구는 매우 크고 질량이 크기 때문에, 우리가 지구 근처에 있는 한 지구가 우리를 아래로 끌어당깁니다. 이 힘 때문에 놓아둔 물체는 가만히 있을 수 없고, 지구 중심 방향으로 당겨져 바닥에 닿게 됩니다. 뉴턴은 이를 만유인력의 법칙으로 설명했고, 아.. 2025. 8. 11.
물체는 왜 그림자를 만들까 (빛, 차단, 반사) 햇볕이 잘 드는 날, 길을 걷다 보면 발 밑에 나를 따라다니는 그림자를 볼 수 있습니다. 손전등을 켜면 벽에 생기는 인형 모양의 그림자, 저녁 무렵 길게 늘어진 그림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렇다면 왜 물체는 그림자를 만들까요? 그 이유는 빛이 직진하는 성질, 물체에 의한 차단, 그리고 일부 반사와 흡수의 조합에 있습니다. 빛은 직진한다: 그림자의 시작그림자가 생기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빛이 직진하는 성질 때문입니다. 햇빛, 전구, 손전등에서 나오는 빛은 직선 경로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공기나 물처럼 매질이 바뀌면 굴절이 일어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빛이 직진하기 때문에 중간에 장애물이 있으면 그 뒤쪽에는 빛이 도달하지 못합니다. 이 빛이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이 바로 그림자가 생기는 자리.. 2025. 8. 11.